[책 감상/책 추천] 지이, 태복, <어쩌다 과학>
'과알못도 웃으며 이해하는 잡학다식 과학 이야기'를 표방하는 과학 만화.
내가 이전에 리뷰도 쓴 적 있는, 맹기완 작가의 <야밤의 공대생 만화> 같은 재질인데 거기에다 공대 개그를 조금 빼고 아재 개그를 조금 더 집어넣은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2019.05.06 - [책을 읽고 나서] - [책 감상/책 추천] 맹기완, <야밤의 공대생 만화>
[책 감상/책 추천] 맹기완, <야밤의 공대생 만화>
[책 감상/책 추천] 맹기완, <야밤의 공대생 만화> 인터넷에서 한 번쯤 보셨을 거다. 저자가 학교 커뮤니티 사이트 '스누라이프'에 처음 올렸다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어 연재를 시작했고, 결
eatsleepandread.xyz
교양, 상식에 가까운 과학 이야기를 다루는데, 그 수준이 어떤지, 또한 개그 감각은 어떤지 감을 잡으실 수 있도록 몇 컷 먼저 보여 드리려 했는데 인터넷에 적당한 미리보기가 없다...
알라딘이나 예스24에서 미리보기를 이용해 조금 살펴보시든가, 아니면 구글 북스 페이지를 확인해 보시라.
어쩌다 과학
저: 지이 과학적 사실보다 과학자들의 뒷이야기에 관심이 많은 작가. 대학에서 불문학을 전공한 본투비 문과생이지만, 이 책을 만들며 과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요즘은 ‘양전자’의 존재
books.google.co.jp
내가 과학과 관련해 교양을 쌓기 위해 이런저런 책을 많이 읽었는데, 개중에서 제일 이해하기 어려운 천재는 아마 <어쩌다 과학>에서 만난 거 같다.
폴 디랙이라는 영국의 물리학자를 다룬 <반물질을 예측한 폴 디랙의 반쪽은?>이라는 꼭지를 읽다가, 글쎄 이 부분에서 나는 기절했다.
(...) 1928년, 디랙은 전자의 운동에 관한 방정식을 처음으로 만들었는데, 이 방정식을 풀었더니 전자가 음의 에너지를 갖는다는 답도 나왔다. 디랙은 이에 착안하여 전자와 반대 전하를 가진 쌍둥이 입자가 있을 거라고 예측했다.
(...) 이 입자를 반전자(양전자)라고 불렀다. 이 입자는 전자와 모든 게 같지만 딱 하나! - 음전자가 아닌 + 양전자를 띠고 있다는 점이 달랐다.
그리고 디랙의 전자의 반입자인 양전자는 몇 년 후 실험을 통해 발견되고, 디랙은 노벨상을 받게 된다.
사실 이렇게 책 내용을 타이핑하는 지금도 이해가 안 된다.
1) 자신이 방정식을 처음 만들었는데, 2) 그걸 풀었더니 전자가 음의 에너지를 갖는다는 (당시로서는 알려지지 않은 사실) 답이 나왔다, 이 두 가지가 제일 이해가 안 된다.
방정식을 대충 만든 건 아닐 거고, 관련 연구와 관찰을 엄청 했을 텐데, 거기에 맞게 방정식을 만들었더니 당시에 자신은 물론 이 세상 아무도 몰랐던 사실이 드러났다고?
나 같으면 그 방정식을 맞게 만들었어도 '어, 이럴 리가 없는데' 하고 페기하고 다시 (내가 아는 사실에 맞도록) 만들었을 것 같은데...
진짜 천재들은 그냥 나랑 사고방식이 다르구나, 하는 걸 깊게 느끼고 살짝 슬퍼진 하루였다.
분량은 400쪽이 넘는데, 재미있고 가벼우니까 마음만 먹으면 하룻밤 만에도 다 후루룩 읽어 버릴 수가 있다.
리디셀렉트에서 이용 가능하니 한번 거들떠보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