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감상문70

[책 감상/책 추천] 문지혁, <초급 한국어> [책 감상/책 추천] 문지혁,  작가의 자전적 경험을 담은 소설. 나는 잘 몰랐지만 문지혁 작가는 번역도 하고 글도 쓰는 작가라고 한다. 이 소설 속 주인공은 작가 본인이다. 실화 100%만 담은 것은 아니겠지만, 일단 ‘이민 작가를 꿈꾸며 뉴욕에서 한국어를 가르친’ 경험에 기반한 것은 맞는 듯.뉴욕의 모 대학에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가르치는 강사로 일하게 된 저자는 처음에는 기뻤으나, 인생은 늘 생각한 대로만 굴러가지는 않는다. 새로운 대학에서 강사 일을 하기 위해 신청한 EAD(Employment Authorization Document) 카드 발급에 제동이 걸리고, 한 번도 한국어를 가르친 적이 없었기에 처음부터 다 배우고 공부해야 했다. ‘구개음화(palatalization)’는 발음도 어려운데.. 2025. 2. 21.
[책 감상/책 추천] 고우리, <편집자의 사생활> [책 감상/책 추천] 고우리,   1인 출판사인 ‘마름모 출판사’를 운영하는 고우리 편집자의 에세이. 문학동네, 김영사, 한겨레출판 등 대여섯 군데의 출판사에서 일하다가 16년차가 되는 해에 1인 출판사를 차려 독립했다. 읽다 보면 저자가 편집한 책이 여러 권 언급되는데, 내가 읽은 책도 있어서 신기했다.경력 십몇 년 차를 넘어가기 시작하면서부터 “너는 독립 안 해?”라는 말을 자주 들었다. 아마 나같이 팀장급을 지나 편집장급에 이르게 되면 무슨 통과의례처럼 한 번씩 듣게 되는 질문이 아닌가 싶다. 독립? 내가? 나는 독립이 유관순 언니처럼 ‘대한 독립 만세!’ 정도는 외칠 수 있는 신념과 배짱이 없으면 할 일이 못 된다고 믿었다. 내가 출판에 쏟은 세월만큼이나 출판이 힘들다는 걸 뻔히 알기 때문이다.그.. 2025. 2. 19.
[책 감상/책 추천] 레베카 터식, <시팅 프리티> [책 감상/책 추천] 레베카 터식,   이 책은 휠체어 사용자인 저자의 에세이이다. 제목에 쓰인 ‘시팅 프리티(sitting pretty)’는 역자 주대로, “이 책의 원제이기도 한 sitting pretty는 말 그대로 해석하면 ‘예쁘게 앉아 있다’는 의미이지만, ‘안락하고 좋은 상황에 놓여있다’는 관용적 의미도 있다.” 저자는 어린 나이에 암을 앓았고, 영구적 마비를 진단받았다. 따라서 이 표현은 휠체어를 쓰기에 ‘(휠체어에) 예쁘게 앉아 있다’라는 표면적 의미와 ‘안락한 상황(대체로 돈이 많아서)에 처해 있다’(케임브릿지 사전)는 관용적인 의미를 동시에 가진다. 저자는 자신이 “휠체어로도 잘 돌아다니고, 잘 지낸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 이 표현을 사용자명으로 정했다고 밝혔다(그의 트위터 아이디는.. 2025. 2. 14.
[책 감상/책 추천] 페르난도 트리아스 데 베스, <시간을 팝니다, T마켓> [책 감상/책 추천] 페르난도 트리아스 데 베스,   이 책은, 출판사가 제공하는 책 소개에 의하면, ‘글로벌 경제학자들이 최고의 소설로 뽑았’다고 한다. 뭐, 그 사실 자체를 의심하는 것은 아니다. 이 소설은 시간(T, 시간을 의미하는 스페인어 ‘Tiempo’의 약자)이 돈을 주고 살 수 있는 제품이 되자 사람들이 이를 사들여서 자기 자신을 위한 시간을 보내기 시작하고, 기업인들과 정부가 긴장해 이를 저지할 방법을 궁리한다는 내용이다. 경제학자들이 좋아할 만한 소재이고, 또 저자도 나름대로 “시간은 다른 누구도 아닌 각자의 것”이라는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하려고 애썼다(책 말미에 ‘저자의 말’에 “’시간은 다른 누구도 아닌 각자의 것이라는 메시지를 충분히 전하지 못했을 때를 대비해’ 이 책을 독자에게 .. 2025. 2. 12.
[책 감상/책 추천] 서수진, <올리앤더> [책 감상/책 추천] 서수진,   내가 감탄해 마지않았던 서수진 작가의 이후 장편으로는 두 번째 작품(와 이 사이에 소설집 가 나왔다). 호주에서 홈스테이를 하는 한국인 유학생 해솔과 그 홈스테이 집 주인의 딸인 클로이, 그리고 클로이와 같은 학교에 다니는 문제아 엘리, 이렇게 세 여자애가 주인공이다. 이 셋은 호주 시드니 ‘썸머힐 하이 스쿨’에 다닌다.해솔은 엄마가 재혼하면서 호주로 ‘유학’을 오게 되었는데, 호주에 버려졌다고 느낀다. 클로이는 이민자 가정 출신으로서 피할 수 없는 트랙, 그러니까 사회적으로 존경받고 경제적으로도 큰 보수를 받는 직업을 가져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자신이 의대에 가고 싶고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엘리는 이곳 호주에서 나고 자라기는 했지만 적법한 비자가 없는.. 2025. 2. 10.
[책 감상/책 추천] 이두온, <러브 몬스터> [책 감상/책 추천] 이두온,   미쳤다. 비루한 언어를 가진 내가 서수진 작가의 를 읽고 ‘개쩐다’라는 말밖에 하지 못했듯이, 이 책을 읽고서는 ‘미쳤다’라는 말만을 중얼거렸다. 진짜 대미쳤다. 이걸 굳이 설명하자면, 일단 한 단어로는 ‘사랑’에 관한 소설이라고 하겠다. ‘밑도 끝도 없이 사랑이라니 뭐야?’ 하실 분들을 위해 다시 한 단어를 더 골라서 설명하자면, ‘도파민’을 고르겠다. 이 책은 도파민 분출이 끝이 없다. 솔직히 저는 여러분이 이 책 리뷰를 안 읽으셔도 괜찮습니다. 민음사TV의 김민경 편집자(김민경 편집자의 수영 이야기는 대략 15분 25초부터이고, 본격적인 책 이야기는 약 19분 45초부터 시작)가 이 책 추천하는 부분만 보셔도 좋으니 제발 이 책 좀 읽어 주세요. 그것만이 중요합니다.. 2025.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