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를 보고 나서

[영화 감상/영화 추천] <Disenchanted(마법에 걸린 사랑 2)>(2022)

by Jaime Chung 2022. 12. 21.
반응형

[영화 감상/영화 추천] <Disenchanted(마법에 걸린 사랑 2)>(2022)

 

 

감독: 아담 쉥크만(Adam Shankman)

전작 <Enchanted(마법에 걸린 사랑)>(2008)에서 결국 결혼에 골인한 지젤(에이미 아담스 분)과 로버트(패트릭 뎀시 분)은 둘 사이에서 낳은 딸 소피아(밀라 잭슨/라라 잭슨 분), 그리고 로버트의 딸 모건(가브리엘라 발다치노 분)과 함께 ‘몬로빌(Monroeville)’로 이사한다. 아기를 낳아 키우면서 너무 정신없고 바쁘고 힘들어서 삶이 빛바랜 것처럼 느껴졌기 때문에 새로운 시작을 위해 한적한 교외로 이사한 것이다. 십 대인 모건은 물론 이게 마음에 들지 않는다. 게다가 몬로빌에는 말비나(마야 루돌프 분)라는 ‘여왕벌’이 있는데 지젤은 벌써 그녀의 눈 밖에 났다. 교외로 오면 좀 더 낭만적이고 새로운 삶을 살 수 있을 줄 알았는데…. 마침 안달라시아의 왕과 왕비인 에드워드(제임스 마스던 분)와 낸시(이디나 멘젤 분)가 대녀인 소피아에게 ‘마법 지팡이’를 선물해 준다. 삶에 지친 지젤은 동화처럼 아름다운 삶을 살기를 바란다는 소원을 비는데…

⚠️ 아래 영화 리뷰는 <Disenchanted(마법에 걸린 사랑 2)>(2022)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마법에 걸린 사랑>을 재밌게 봤기에 IMDB에서 이 영화 별점이 낮은 걸 보고서도 조금 기대하는 마음으로 이 영화를 보기 시작했는데, 결국 왜 별점이 낮은지를 이해하게 만드는 2시간이었다. 어떤 것이 별로일 거라는 걸 미리 알고 그걸 접하는 것과 ‘에이, 설마,아니겠지…’ 하는 마음으로 접하는 건 그 느낌이 완전히 다르다. 물론 전작 이후로 세월이 14년이나 지났으니 모든 게 똑같을 수는 없다는 걸 안다. 하지만 달라졌으면 달라진 만큼 업데이트가 되어야 하는데 이 영화는 그런 게 전혀 없다.

일단 마야 루돌프는 내가 사랑해 마지않는 배우인데도 마야 루돌프의 악당 말비나는 전혀 매력을 찾아볼 수 없다. 마야의 유머 감각도 이 영화에선 전혀 보이지 않는다. 마야 아니라 그 어떤 배우를 데려다 썼어도 말비나는 개성 있는 인물이 되지 못했을 것 같다. 애초에 인물이 개성 있게 잘 만들어지지 않아서 그런가.

사실 이 영화의 가장 큰 문제는 내가 위에서 말했듯 업데이트가 전혀 안 됐다는 거다. 요즘에는 패션으로라도 ‘다양성’이니 ‘PC함’이니 하는 걸 장착하려고 하는데 이 영화는 그런 거엔 조금도 관심이 없나 보다. 살짝만 다른 관점으로 봐도 신선하게 만들 수 있는 거리가 한둘이 아닌데 그런 기회를 다 버려 놓고 나온 결과물이 고작 요거라니 정말 얼척이 없다. 지젤이 동화 같은 세상에서 살고 싶다는 소원을 빌어서 몬로빌이 ‘몬롤래시아(Monrolasia)’라는 동화 속 세상이 되어 버리는데, 지젤은 그런 동화에 나오는 전형적인 ‘사악한 계모(wicked stepmother)’가 되어 버린다. 다행히 소원을 빈 날 자정이 되기 전까지 소원을 취소할 수 있는데, 그때까지 지젤은 세 가지의 단계를 거쳐 서서히 사악한 계모가 될 거라고 한다. 첫 번째는 외모에만 신경 쓰는 허영심(vain). 이 악덕은 거의 전적으로 언제나 여성에게만 붙여지는 딱지이긴 하지만, 그래도 뭐, 이건 사실 남성에게도 해당할 수 있으니까 그렇다 하고 넘어갈 수 있다. 둘째는 잔인함(cruel). 지젤은 못되게 변해서 모건이 그날 밤 열리는 축제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집안일을 잔뜩 시킨다. 신데렐라의 향기가 강하게 풍기긴 하지만 사악한 계모답긴 하다. 마지막 셋째는 야심(ambitious). 엥? 농담이겠죠? 이 21세기에 여성이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부덕함이 고작 야심이라고요? 여성들은 그럼 야심 없이 조신하게 자신에게 주어지는 적은 월급, 낮은 자리, 중요하지 않은 위치에 만족해야 하나? 허영심은 이에 비하면 정말 귀여운 수준이기에 그냥 넘어가자고 한 거였다. 남녀를 떠나 누구나 가질 수 있는 악덕들이 많은데 그걸 다 차치하고 이걸 사악한 계모의 특징이랍시고 넣다니 정말 각본가 누구냐. 다양성이니 PC함에 대한 논의는 정말 콧구멍으로도 안 들으셨군요.

지젤의 소원 때문이 세상이 바뀌었는데 어째서 그 마법의 힘이 어떤 사람에게는 더 미치고, 어떤 사람에게는 덜 미치는 것 같아 보이는지도 나는 궁금하다. 지젤이 소원을 빌기 전 모건은 머릿속에 꽃밭이 있는 것처럼 툭하면 노래를 부르고 안달라시아는 어쩌고저쩌고 하는 지젤을 살짝 못마땅하게 여기며 (그래도 엄마라고 부르긴 하지만) 비꼬는 말이 주특기인 전형적인 10대 소녀이다. 그런데 소원 때문에 바뀐 몬롤래시아에서 모건은 신데렐라가 된다. 빈정대는 말은 다 어디 가고 지젤의 말에 ‘네네’ 하는 청순가련형 소녀가 된 거냐고!

애초에 지젤의 소원 때문에 몬로빌이라는 교외가 신데렐라 같은 동화 이야기가 되었다는 설정 자체가 구닥다리다. 그걸 어떻게 새롭게 버무릴 생각은 안 하고 고대로 가져왔기에 고루하기 짝이 없다. 안달라시아의 마법 지팡이는 오직 안달라시아의 진정한 딸/아들만 쓸 수 있다는 제한이 있는데, 애초에 지젤이 이 선물을 받을 때 모건은 자신이 지젤과 로버트 사이에서 낳은 딸이 아니기 때문에 소외받는다는 느낌을 받고, 자신은 안달라시아의 진정한 딸이 아니라는 생각에 빠진다. 결국 마지막에 모건이 이 마법 지팡이를 이용해 소원을 빌라고 지젤이 말하며 “너는 내 딸이야.”라고 말하는데, 음, 그래요?

사실 이혼이 더 이상 흠이 아닌 이 시대에 꼭 혈연으로만 맺어져야 진정한 가족인 건 아니다. 누구든 서로 사랑하고 아껴 주면 가족이지. 그런 메시지는 정말 적절하며 훌륭하고 좋은데, 그 메시지를 전하는 방법이 별로고 또 효과적이지도 않다. 그 주제를 강조하기 위해 다른 무슨 장치가 쓰이거나 다른 인물이 등장하나? 아니다. 그냥 지젤이 그 대사 한 번 치는 게 전부다. 혈연으로 이어지지 않은 조각보 같은 가족이라도 서로 사랑하는 모습을 보여 주기 위해 다른 인물들을 보여 주거나 ‘가족’이라는 키워드를 적절히 사용할 수도 있었는데. 어쩌자고 내가 애초에 흑인을 제외하고 동양인이나 라틴엑스(Latinx) 같은 다른 소수자들도 많이 안 나오는 이 영화에 뭐 그리 큰 기대를 걸었을까. 흑인들도 그다지 비중이 큰 건 아니다. 나름대로 주요 인물이라 할 만한 등장인물 중 말비나의 시녀 격인 여자 한 명 로잘린(이베트 니콜 브라운 분)과 모건의 남자 친구가 되는 타이슨(콜튼 스튜어트 분), 이 둘이 이 전부다. 이래서 내가 이 영화가 업데이트가 안 됐다고 하는 거다.

하나만 더 불평하자면, 에드워드라는 놈은 세상이 변하기 전 지젤과 로버트네 집에 집들이 왔을 때는 재수 없게, 전형적인 왕족답게 로버트에게 시비를 털더니 (로버트의 직업을 무시하고 자기 칼을 주는 등) 모건이 도움을 받기 위해 안달라시아에 왔을 때는 낸시를 모건 도우라고 보내고 자기는 남아서 안달라시아를 지키겠다는 둥 아주 멋있는 남자인 것처럼 그려진다. 그래 놓고 또 영화 끝에 모든 사건이 해결되어 축하하는 의미로 현실 세계로 다시 찾아왔을 땐 그냥 동네 꼬마애들을 ‘소작농(peasant)’이라 부르며 거만하기 짝이 없는 왕의 모습 그대로이다. 얘는 왜 묘사가 왔다 갔다 해? 어떤 장면이든 정말 재수 없네. 낸시는 왜 이런 놈이랑 결혼했지? ✊ 이디나 멘젤 절대 지켜 ✊

이디나 멘젤 이야기나 나왔으니 말인데, 이건 심지어 뮤지컬 영화인데 영화를 보고 나서 기억에 남는 뮤지컬 넘버가 하나도 없다. 지젤과 말비나가 자기가 더 뛰어난 악당이라고 주장하며 부르는 듀엣도 그다지 귀에 꽂히지 않는다. 내가 따라 부를 수는 없어도 흥얼흥얼하고 싶은 노래가 한두 곡쯤은 있어야 뮤지컬 영화 체면치레를 할 수 있는 것 아닌가.

다년간의 경험에 따라 나는 IMDB 별점이 평균 6.0 이하인 영화는 객관적으로도, 주관적으로도 ‘좋은’ 또는 ‘재미있는’ 영화일 수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 그럭저럭 괜찮다고 여길 수는 있지만 절대 뛰어난 작품일 수는 없다는 게 내 생각이다. ‘내가 보기엔 괜찮던데/재밌던데/웃기던데/감동적이던데’ 또는 ‘나는 완전 마음에 들었는데!’ 같은 이견이 나오려면 최소한 6.0은 되어야 한다. 그 이하의 영화들을 봤을 때 나는 정말로 이견이 없었다. 사람들의 감상은 다양하고 개인적이지만, 적어도 영화를 이해하는 방식은 보편적이라는 게 내 지론이다. 여러분이 물론 이 영화를 직접 보고 판단하실 수도 있겠지만, 음, 💩인지 된장인지 꼭 찍어 먹어 봐야만 아는 건 아니잖아요. 빛깔이나 점도 등으로, 먹어 보지 않고도 판단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대중의 눈을 믿어 보세요. 제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