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를 보고 나서

[영화 감상/영화 추천] <Cruella(크루엘라)>(2021)

by Jaime Chung 2023. 1. 23.
반응형

 

⚠️ 아래 영화 후기는 <Cruella(크루엘라)>(2021)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나는 원래 이렇게 대형 상업 영화를 보기는 해도 딱히 블로그에 후기를 쓰지 않는 편인데(워낙에 취향이 마이너해서, 나처럼 다른 마이너한 취향의 소유자들이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마이너한 영화 위주로 쓰는 편이다), 이 영화는 너무나 실망스러웠기에 여기에 불평을 쏟아 놓아야 좀 개운해질 것 같다. 워낙에 평이 좋았던 영화이기에 많은 이들이 내 후기를 마음에 들어하지 않을 거라는 예감이 들긴 하지만, 그래도 내 감상을 솔직히 털어놓아야겠다.

내가 이 영화에서 마음에 들지 않았던 건 크게 세 가지이다. 첫 번째, 에스텔라/크루엘라로 분한 엠마 스톤의 연기, 두 번째, 패션, 세 번째, 이야기.

첫 번째로 엠마 스톤의 연기부터 논하자면, 나는 엠마 스톤을 연기 못하는 배우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 <Easy A(이지 A)>)(2010)부터 시작해 <La La Land(라라랜드)>(2016)까지 엠마 스톤이 나오는 영화는 거진 다 재미있게 잘 봤고, 엠마 스톤도 좋은 여배우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크루엘라>에서 엠마 스톤이 크루엘라를 연기할 때는 어색함에 몸 둘 바를 모르겠다. 에스텔라 역일 때는 괜찮은데, 아주 과장된, 드라마틱한 캐릭터(=크루엘라)를 연기할 때는 ‘사실 나도 이게 너무 오글거려서 미칠 것 같아요!’를 외치는 것 같다. 영화나 소설 속의 캐릭터는 과장되고 드라마틱할 수 있다. 예컨대 DC 코믹스 유니버스의 할리 퀸 또는 조커처럼. 그렇지만 그 ‘투머치’한 캐릭터를 잘 살리는 게 배우의 역할 아닌가. ‘나 참, 못 해 먹겠네!!’를 온몸으로 외치는 게 아니라 그냥 그 배우가 원래 그 캐릭터인 것처럼 자연스럽게 보이는 게 배우의 할 일인데, 크루엘라의 연기는 자연스럽지 못했다.

반면에 엠마 톰슨이 맡은 ‘남작 부인(Baroness)’ 캐릭터는 크루엘라와 비슷한 정도로 과장된 소시오패스이지만, 엠마 톰슨의 연기로 자연스럽게 보인다. ‘연기’하는 게 아니라 그냥 원래 저런 성격에 저렇게 행동하는 남작 부인이라는 인물이 존재하는 것처럼. 역시 엠마 톰슨.

두 번째로 내가 마음에 들지 않은 건 패션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콘셉트가 이상하다. 크루엘라라는 악당 캐릭터를 다룬 ‘오리진 스토리’ 영화인데 크루엘라가 모피를 안 입어? 글렌 클로즈가 크루엘라로 분한 1996년 버전 <101 Dalmatians(101 달마시안)> 실사 영화나 원래 만화 시리즈를 보면 다들 아시겠지만, 크루엘라의 상징은 화려한 모피 코트와 담배이다. 이 2021년 버전 크루엘라가 담배를 안 피우는 건, 아동을 대상으로 한 ’디즈니’라서 그렇다 쳐도 (사실 그렇다 칠 수도 없긴 하다. 디즈니라고 해서 담배 피우는 인물이 주조연을 막론하고 아예 등장을 안 하나?) 모피 코트를 안 입는다고요? 영화가 진행되며 에스텔라가 점점 ‘크루엘라’로 흑화해 가면서 모피 코트를 입는다면 자연스럽게 캐릭터성도 살릴 수 있었을 텐데. 모피 코트 없는 크루엘라가 어떻게 크루엘라인지 모르겠다. 디즈니가 모피에 대한 담화(‘모피는 동물 학대예요!’)를 피해 ‘안전하게’ 가고 싶어서 크루엘라의 캐릭터성의 핵심인 모피를 삭제해 버렸다고밖에 생각할 수 없다. 어이가 없다. 크루엘라에게 모피는 단순히 의상이 아니라, 자본주의의 정점에서 누릴 수 있는 그 돈과 지위의 상징 같은 것이다. 자신이 원하는 코트를 얻기 위해 자신의 것도 아닌 달마시안들을 잡아 코트로 만들겠다는 욕심이 없는 크루엘라는 크루엘라가 아니지 않나.

게다가 에스텔라/크루엘라가 입는 의상은 펑크족에서 영감을 받은 펑크 스타일인데, 시대적 배경이 그 당시라고 해서 크루엘라의 의상을 단순히 그렇게 설정했다는 게 우습다. 이건 세 번째 요소, 이야기와도 관련이 있는데, 펑크의 핵심은 ‘저항'이다. 자신을 억압하는 체재, 사회, 관습 등에 맞서 저항하는 게 펑크의 정신임은 펑크 음악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도 다 안다. 개인의 음악 취향에 상관없이 국악의 정서는 한(恨)임을 알듯이. 그런데 크루엘라는 무엇에 저항하는가? 없다. 크루엘라가 맞서 싸우는 건 남작 부인뿐이고, 그 ‘싸움’도 자신의 어머니의 것이라고 생각한 목걸이를 남작 부인이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차렸을 때 개인적 원한으로 시작한다. 남작 부인이 크루엘라나 다른 사람들을 (마치 <The Devil Wears Prada(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2006)의 미란다처럼) 형편없이 대하고, 폭언을 일삼아도 크루엘라는 거기에 대해 어떤 언급도 하지 않는다. 그런 불공평함 또는 무례함에 대해 분노하지도 않는 인물이 무슨 저항 정신? 펑크 정신이 없는데 펑크 의상이 예쁜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에스텔라와 짝짝꿍이 맞는 패션 디자이너이자 편집샵 주인인 아티(존 맥크리 분)가 펑크 스타일로 입는 건 이해가 된다. 딱 봐도 게이인 인물이니까, 자신이 게이라는 사실을 숨기지 않고 사는 것만으로도 이성애만을 ‘정상’으로 여기는 사회에 저항하는 거라고 볼 수 있으니까. 에스텔라/크루엘라의 펑크 패션은 멋져 보이는 것 이외에 정말 아무 의미도 없다.

남작 부인과 크루엘라 모두 패션업계에 있으니 크루엘라는 패션업계에 대한 코멘터리를 할 수도 있었다. 예컨대 외양을 꾸미는 데만 치중하면서 내면이나 지성을 갈고닦는 데는 관심이 없는 이들이라든지, 패션이라는 미명 하에 쓰레기를 잔뜩 생산해 내어 지구를 망치는 패션업계(심지어 크루엘라가 쓰레기 차에서 넝마 같은 천을 줄줄이 이은 드레스를 입고 등장하는 장면까지 있는데!), 크루엘라처럼 재능 있는 부하 직원의 공을 가로채는 상사, 단 한 가지 미의 기준만 내세우고 옷에 몸을 끼워맞추라고 모델들을 정신적﹒신체적으로 학대하는 패션업계 및 전반적 사회의 분위기 등, 비판할 거리는 부족하지 않다. 아니면 아예 대놓고 모피 얘기를 하거나. 패션에 대한 열정으로 눈을 반짝이던 에스텔라가 남작 부인 아래에서 일하면서 패션 업계의 더러운 꼴을 보고 그 더러운 물이 들어서 자본주의적 성공을 위해서는 지구든 동물이든 신경 ㅈ도 안 쓰는, 우리가 아는 그 ‘크루엘라’로 변해 가는 과정을 그릴 수도 있었다. 이렇게나 많은 기회를 놓치다니.

세 번째, 이야기에 대해 내가 원래 하고 싶었던 말을 더 덧붙이자면 이렇다. ‘에스텔라가 본인 어머니라고 생각했던 캐서린(에밀리 비샴 분)은 사실 남작 부인 밑에서 일하던 직원이었고, 에스텔라가 그렇게 증오하던 남작 부인이 실제 그녀의 친모였다.’ 이걸 이용해 더 깊은 의미의 층위를 만들어 낼 수 있지 않았을까? 예컨대, 에스텔라가 남작 부인이 무섭고 무례한 사람이란 건 알지만 그래도 가끔 보여 주는, 에스텔라를 인정하는 눈짓이나 따뜻한 제스처를 보고서 어머니 같은 끌림, 또는 호감을 느끼게 만들 수 있다. 그러고 나서 남작 부인이 그 ‘가보’ 목걸이를 하고 있는 걸 알게 되면 더 혼란스러움을 느낄 것이다. 남작 부인 입장에서는 눈이 침침해져 간다든지, 감을 잃고 있다든지, 아니면 애초에 남의 디자인을 훔쳐서 성공한 사람이라 몰락하지 않기 위해서는 재능 있는 에스텔라를 자기 밑에 두고 착취해야 해서 에스텔라를 적당히 잘해 주고 적당히 구슬려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관객 입장에서는 ‘낯선 여자에게서 어머니 같은 느낌을 느꼈는데 알고 보니 친모였네?’ 같은 충격도 받을 것이고, 왜 남작 부인이 에스텔라의 재능에 질투하고 그걸 자기가 가지지 못한다면 아예 없애 버리려고 하는지도 이해할 수 있을 거다. 그렇게 되면 나이 든 어머니가 젊고 재능 있는 딸을 질투하고 부러워하는 모습과도 겹쳐 보일 테니 의미가 더욱 풍부해지지 않겠는가? 이 세상에 어머니에게 양가 감정을 가진 딸들이 얼마나 많은지 작가들이 모르는 듯. ‘친모와 딸’ 설정을 쓸 거면 이야기를 그런 쪽으로 풀어나갔으면 좋았을걸.

이 외에 자잘한 감상들 몇 가지 더. 호레이스(폴 월터 하우저 분) 역을 맡은 배우의 액센트가 너무 과하다. 실제로 저렇게까지 오버해서 말하는 사람이 어디 있어? 에스텔라가 한 땀 한 땀 바느질해 장식을 붙인 드레스에서 나비인지 나방인지가 나와 금고 속 모든 드레스들을 쏠아 먹는다는 설정은 솔직히 놀랍고 기발했다. 이 영화에 쓸데없는 러브 라인이 없는 것도 좋다. 그 두 가지는 인정.

결론적으로, ‘악당’의 ‘오리진 스토리’를 풀어나가야 했으나 그 악당을 관객이 ‘좋아할 만한’ 사람으로 만드느라 딱히 악당스럽지도 않고, 자기 이름처럼 ‘잔혹하’지도 않은 이상한 결과물이 나왔다. 크루엘라가 크루엘라가 아닌데, 영화 제목이 <크루엘라>라고요? 그냥 앞에 언급한 1996년 글렌 클로즈 주연의 <101 달마시안>을 보는 게 패션이나 크루엘라의 캐릭터성 면에서 더 낫겠다. 대실망쇼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