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30 [책 감상/책 추천] 어맨다 몬텔, <워드슬럿> [책 감상/책 추천] 어맨다 몬텔, 알아 두면 쓸데없는 언어학 지식 하나. ‘slut’은 현대에 ‘성적으로 난잡한 여성’을 뜻하는 모욕이지만, 원래 이 단어는 “더럽거나, 지저분하거나, 단정하지 못한 습관 또는 외모를 가진 여자(a woman of dirty, slovenly, or untidy habits or appearance)”를 말했다. 즉, 먼지가 묻었다거나 해서 신체적으로 더러운 것을 뜻했다. 성적인 함의는 없었다. 빅토리아 시대의 한 신데렐라 판본에서 신데렐라는 ‘신더슬럿(cinderslut)’, 즉 ‘재투성이인 더러운 여자애’라고 불렸다(참고). 그러다가 단어의 뜻이 바뀌어 ‘slut’은 이제는 성적으로 헤픈 여자를 가리키게 되었다(참고). 은 언어학자 어맨다 몬텔이 영어가 변화해 온 궤.. 2023. 2. 17. [책 감상/책 추천] 케이트 쇼팽, <한 시간 사이에 일어난 일> [책 감상/책 추천] 케이트 쇼팽, 케이트 쇼팽은 페미니즘 소설의 선구자라 할 수 있다. 표제작이기도 한 은 내가 학부생 시절 영미단편소설 수업에서 배운 적이 있는 작품이다. 내가 읽은 이 번역본은 표제작을 비롯해 총 다섯 편의 단편소설이 수록돼 있다. 각 단편소설의 간단한 줄거리와 인상 깊은 구절을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몇몇 작품은 반전이 중요하므로 반전까지는 밝히지 않겠다). 에서 맬라드 부인은 남편이 열차 사고로 숨졌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폭풍 같은 슬픔이 가라앉자 자기 방으로 들어간 그녀는 이 사실이 의미하는 바를 다시 생각하게 된다. “자유, 자유, 자유다!” 공허한 눈길과 두려운 표정도 잠시, 곧 눈이 열정적으로 밝게 빛났다. 맥박이 빠르게 뛰었고 몸의 구석구석으로 피가 끓어올랐다가 서서히.. 2022. 12. 19. [책 감상/책 추천] 민혜영, <여자 공부하는 여자> 저자는 마흔이 넘은 나이에 본격적으로 페미니즘을 공부하기로 마음먹었다. 이 책은 저자가 대학 수업에서, 그리고 개인적으로 공부를 위해 읽은 페미니즘 서적들을 간략히 요약하고 감상을 표현한 글을 모은 것이다. 내가 이미 읽은 책도 많지만 내가 몰랐던 좋은 책들도 있어서 대박 ‘노다지’를 캔 기분이다. 이 책의 프롤로그에서 왜 자신이 이 늦은 나이에 페미니즘을 공부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한다. 저자는 일과 육아로 분주해서 ‘이렇게밖에 살 수 없는 걸까?’와 ‘이렇게는 살 수 없다’는 생각이 번갈아 드는 하루하루를 보내던 와중, 닥치는 대로 책을 읽다가 사사키 아타루의 에서 이런 문장을 발견한다. “읽고 만 이상, 거기에 그렇게 쓰여 있는 이상, 그 한 행이 아무래도 옳다고밖에 생각되지 않는 이상, 그 문구가 하.. 2022. 11. 16. [책 감상/책 추천] 미켈라 무르지아, <아직도 그런 말을 하세요?> [책 감상/책 추천] 미켈라 무르지아, 때로 '위 아 더 월드'를 느끼게 하는 것들이 있다. 이 책이 그렇다. 성차별적인 발언에 대한 이 책이 이탈리아인 저자에 의해, 이탈리아 상황에 맞게 쓰였으나 현재 우리나라 상황과도 비슷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세상에 참 왜 이런 건 전 세계에서 일어나는 공통적인 현상인가, 약간 한탄의 한숨을 쉴 수밖에 없는 것이다. 책은 맞는 말 대잔치이다. 읽으면서 '그렇지!' 하고 무릎을 친 게 한두 번이 아니다. 예컨대 이런 것들. 물론 현실에 안주하는 방법도 있다. 웃으면서 고분고분 "네."라고 말하는 착한 여자아이는 가부장제에서 항상 명예의 전당에 오를 것이다. "이건 별로예요."라고 말해 명예로운 자리를 포기한다면 고난의 길로 들어서는데, 과거에 누군가는 여성들을 위해 .. 2022. 5. 6.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