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를 보고 나서

[책 감상/책 추천] 제인 오스틴, <노생거 사원>

by Jaime Chung 2018. 9. 26.
반응형

[책 감상/책 추천] 제인 오스틴, <노생거 사원>

 

<노생거 수도원>은 여러 가지 판본이 있지만 나는 시공사 판본으로 읽어서 짤도 이 판본의 겉표지로 선택했다.

 

이 소설은 이렇게 시작한다. "어릴 적 캐서린 몰랜드를 본 사람이라면 누구도 그녀가 여주인공이 될 운명이란 생각은 하지 않았으리라."

타고난 신분이며 부모님이며, 성격과 기질까지 모든 게 하나같이 소설 속 여주인공과는 정반대였기 때문이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평범하지만 좋으신 분들이라 딱히 이렇다 할 '이야깃거리'가 없었다.

캐서린 본인은 톰보이(tomboy, 남자애 같은 말괄량이 여자애)로, 딱히 똑똑한 아이도 아니었다.

그러다가 열다섯 살쯤 되자 인물도 좋아지고 취향도 여성스러워졌다. "눈에는 생기가 돌고 몸매도 태가 났다. 그리고 갈수록 영리해지면서 깔끔해졌다."

이 정도 되면 "캐서린의 변모는 만족할 만했다."

어느 날 이웃인 앨런 씨가 바스(Bath, 영국 윌트셔 서쪽에 있는 휴양 도시로 18세기에는 온천으로 유명했다)로 휴양을 가며 같이 가지 않겠느냐고 제안했다.

그래서 캐서린은 앨런 씨와 앨런 씨의 부인과 함께 바스에 가게 된다. 그녀는 그곳에서 새로운 친구를 만나고 (당연히) 멋진 남주인공을 만난다.

 

<노생거 수도원>은 제인 오스틴이 원래 <수전>이란 제목으로 쓰고 맨 처음으로 출간할 뻔했던 소설이다.

그래서 다소 어설프다, 약간 만듦새가 다른 작품보다 못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나는 그래도 무척 재미있게 읽었다.

 

나는 비평가가 이 작품을 비평할 때 짚을 만한 포인트라면 두 가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 책의 끝마무리가 다소 급하다는 느낌이다. 나는 이 책을 이북(eBook)으로 봤는데 내 보기 설정으로는 앞 표지를 포함해 총 258쪽이었다.

그런데 226쪽까지는 '어차피 해피 엔딩일 거 알긴 아는데, 그래도 한 20페이지 만에 끝내 버릴 수 있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럴 수 있더라.

마지막 한 26쪽 내에 끝마무리는 물론이요, 번역가의 해설과 제인 오스틴 연보, 번역가 약력, 그리고 판권 페이지까지 다 해결되는 이 깔끔함! 어느 정도의 속도인지 감이 오시는지?

작가는 작품을 정말 신속하게 끝맺는다. 자세한 묘사는 거의 없고, 대화 내용도 "누구누구는 말했다. "어쩌고저쩌고." 그러자 다른 사람이 말했다. "이러쿵저러쿵." 하는 식으로 길게 쓰는 게 아니라 "그 내용인즉슨 뫄뫄하다는 것이었다." 뭐 이런 식으로 작가가 간략하게 정리해 준다.

혹자는 이런 엔딩이 '번갯불에 콩 구워 먹는 것 같다'라고 할 수도 있지만, 나는 살짝 놀라긴 해도 그렇게 불쾌하거나 실망스럽진 않았다.

어차피 이런 책은 해피 엔딩일 거 다 알고서 읽는 거 아닌가? 해피 엔딩은 이미 정해진 것으로서 중요하지 않다.

다만 그 엔딩으로 가는 과정, 즉 주인공들끼리 지지고 볶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중요한 것이다.

왜냐? 톨스토이(Tolstoy)의 <안나 카레니나(Anna Karenina)> 첫 문장을 적당히 비틀어서 말하자면, "해피 엔딩은 한 가지의 모습으로 행복하지만, 불행한 중간 과정은 제각기의 모습으로 불행하기 때문이다."

이 말은, 건강은 한 가지 모습인데 반해 건강하지 않은 상태, 즉 질병은 그 종류가 헤아릴 수 없이 많다는 점을 떠올려 보면 이해가 쉽다.

생각해 보라. 로맨틱 코미디의 끝은 남녀 주인공의 결혼 또는 최소한 행복한 재회, 키스로 끝나게 마련이다. 이런 틀을 벗어나는 로맨틱 코미디는 있을 수 없다.

그러니까 우리는 로맨틱 코미디를 접할 때, 그게 책이든 영화든 간에, 그들이 이어지리라는 걸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그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이어지게 되는지를 보는 데 집중한다.

그 과정이 너무 아슬아슬하고 슬퍼서 마음을 졸여도 마지막에 둘이 맺어지게 되면 우리는 '휴, 내 그럴 줄 알았다니까!' 하고 빙그레 웃는다.

주인공이 (거의 99%의 모든) 영화에서 절대 죽지 않는 거랑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이미 결말은 다들 알고 있으니까 최대한 중간 과정을 흥미진진하게 이야기하고 마지막은 스피디하게 착착착 진행해 나간다 해도 괜찮지 않나?

나는 이 책의 마지막 26쪽을 읽으면서 그런 생각이 들었다. 우리 인생도 어차피 해피 엔딩이라고 결말을 상정해 놓는다면, 지금 내게 일어나는 힘든 일도 조금 더 감사하게, 조금 더 가벼운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지 않을까?

지금은 우리 인생이라는 영화/소설의 중간 과정이며 우리는 우리 인생의 주인공이며 그러니까 엔딩에서는 모든 게 멋지게 해결될 거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말도 안 된다고? 하지만 당신이 좋아하는 그 (로맨틱) 코미디의 주인공들도 한때는 좌절했다. 그렇지만 마지막에서도 그렇던가? 그들은 행복해지고 만다. 무슨 일이 있어도. 마치 지금까지 겪었던 고난이 정말 일어나지도 않았던 것처럼.

그런 생각을 하니 나도 '내 인생은 로맨틱 코미디'라고 여기고 살아야겠다고 다짐했다(참고로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When Harry Met Sally, 1989)>나 <시애틀의 잠 못 이루는 밤(Sleepless in Seattle, 1993)> 등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각본을 쓴 노라 에프런(Norah Ephron)의 에세이집도 국내에서 <내 인생은 로맨틱 코미디>라는 제목으로 번역·출간됐다).

'어차피 안 될 거야.' 하는 마음가짐 또는 '어떻게든 잘될 거야.' 하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사는 삶은, 시작은 비슷할지언정 끝은 다르게 마련이니까 말이다.

 

두 번째 비평 포인트는 고딕 호러 소설스러운 느낌을 주는 소재를 많이 차용했다는 것이다.

주인공 캐서린이 '노생거 사원'에 가기도 전에(2장에서 일어나는 일이니까 책의 절반 정도 되어야 드디어 제목에 나오는 그곳에 간다고 볼 수도 있겠다) 작가는 캐서린이 읽는 책, 앤 래드클리프(Ann Radcliffe)의 <우돌포의 수수께끼(The Mysteries of Udolpho)>를 통해 이미 떡밥을 뿌린다.

이 책은 캐서린과 이사벨라가 제일 좋아하는 책으로, 당시 유행했던 고딕 소설의 대표작이다.

남주인공인 틸니는 캐서린이 그곳에 가기도 전에 '<우돌포>에서 읽은 것처럼 으스스한 일들이 일어나면 어떡하냐'라며 캐서린에게 겁을 준다.

그리고 그 암시에 걸려든 캐서린은 정말로 노생거 수도원에 잔인한 비밀이 숨겨져 있을 거라 상상하게 된다.

2부 중반은 대개 캐서린이 정말 <우돌포>의 여주인공이 된 것처럼 무서워하고, 수도원을 돌아다니며 비밀을 캐내는 이야기이다.

따라서 이 소설의 장르가 정확히 뭔지 헷갈릴 수도 있다. 나도 그랬으니까.

그렇지만 정확히 말씀 드리겠다. 이 소설은 로맨틱 코미디가 맞는다. 그러니 너무 무서워하지 말고 읽어 나가시면 해피 엔딩에 도달하실 수 있다!

 

고딕 호러 소설 이야기가 나왔으니 말인데, 이 로맨틱 코미디 소설에서 인생의 반려자, 정말 나를 사랑해 주는 사람을 알아보는 눈을 키우는 법을 배울 수 있다.

무슨 말인고 하니, 이 장면을 보자. 이 로맨스에는 여주인공 캐서린에게 관심을 보이는 두 명의 남자가 등장한다.

한 명은 캐서린이 좋아하고 자기 친구랑 아주 수다를 떨면서 덕질을 하는 <우돌포>를 읽어 보았으며 또 좋은 책이라고 인정하는 남자, 다른 남자는 '그런 건 여자들이나 좋아하는 이야기책이고, 진짜 독서를 하려면 역사책을 읽어야 한다'라고 주장하는 남자다.

과연 어느 쪽이 캐서린이 나중에 이어질 진짜 배필일까? 고민할 것도 없이 전자이다.

요지인즉, 자고로 정말 나를 사랑하고 아껴 주는 사람, 정말 좋은 사람이라면 내 취향도 존중한다는 거다.

예를 들어 내가 록 음악을 좋아한다고 치자. 그렇다고 해서 애인으로 꼭 록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을 만나야 하는 건 아니다.

상대방 취향이 클래식 음악, 힙합 음악, 국악, 가곡, 팝, 뭐가 됐든 상관없다. 중요한 건, 나를 인정하고 존중해야 한다는 거다.

'록 음악이 다 뭐냐. 그깟 사악한 악마의 음악! 진짜 음악은 이거지'라면서 자기 취향을 강요하는 사람은 진짜 나를 사랑하는 게 아니다. 이 점을 꼭 기억해야 한다.

나는 예시로 음악 취향을 들었지만, 이건 그 어떤 항목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다른 예를 들자면 내가 바리스타가 되고 싶어 하는데 '그건 개나소나 하는 거지. 그러지 말고 좀 더 안정적인 직업을 구해 봐.'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그럼 그 사람은 나를 존중하는 게 아니다.

정말로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건, 내 마음에 안 드는 것, 내가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있어도 상대를 내 마음대로, 내가 보기에 '옳은' 대로 고치려 하는 게 아니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게 안 되면 헤어지는 게 맞는 거다. 남의 일이라고 쉽게 말하는 게 아니다. 진짜 사랑을 하려면 그 정도 각오가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당신은 있는 모습 그대로 사랑받을 가치가 있는 사람이다. 그리고 상대도 마찬가지로 그런 사랑을 받을 자격이 있다. 이 점을 꼭 기억하자.

 

끝으로 이 소설에서 흥미로웠던 점 한 가지만 더 이야기하고 싶다.

마지막 장에서 여주인공과 남주인공은 가족의 반대를 무릅쓰고 결혼에 골인한다(제인 오스틴 소설 그리고 제인 오스틴풍의 로맨스 소설에서 반드시 그러하듯이, 남주인공은 돈 없고 명예도 없는 여주인공을, 오직 사랑만 보고 선택한다). 그리고 작가는 이 작품을 이 말로 끝맺는다.

"솔직히 나로서는 장군(=남주인공의 아버지)의 부당한 훼방이 그들의 행복을 해치기는커녕, 서로를 더 잘 알게 하고 애정을 더 돈독하게 함으로써 어쩌면 행복을 키웠다는 확신이 든다. 그렇다면 이 작품이 과연 부모의 독재를 권장하는 것인지, 아니면 부모에게 불복종하면 보상을 받는다고 하는 것인지, 이 문제는 누구든 관심 있는 독자의 판단에 맡기도록 하겠다."

일단 작가가 소설에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며 전면적으로 개입해 사견을 덧붙이는 '메타(meta)'적 언급을 한다는 사실도 (이 글이 쓰인 연도를 생각하면) 무척 신선하고 놀라운데, 작가가 하는 말의 내용도 생각해 볼 만하다.

남이 연인 사이를 찢어 놓으려 하면 오히려 반발심으로 더 사랑이 깊어진다는 것은 심리학에서는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Romeo and Juliet effect)'라고 한다.

셰익스피어(Shakespeare)의 <로미오와 줄리엣>은 엄밀한 의미에서는 '비극(tragedy)'이 아니지만('왕이라든지 귀족 같은 고상한 출생의 주인공이 비극적 단점(영어로는 'tragic flaw', 희랍어로는 '하마르티아(harmartia)'라고 한다)으로 인해 몰락하는 이야기'라는 것이 고전적인 비극의 정의이다) 그렇다고 해서 아주 행복한 코미디(희극)는 아니니 일단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넓은 의미에서 비극이라고 해 두자.

비극에서는 아버지, 즉 권력자의 뜻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로미오와 줄리엣은 두 가문이 서로 반목하는 사이라서 현생에서 맺어지지 못한다.

하지만 희극에서는 아버지의 뜻이 좌절된다. 셰익스피어의 희곡 <한여름 밤의 꿈(A Midsummer Night's Dream)>에서 허미아(Hermia)는 드미트리어스(Demetrius)와 결혼하라는 아버지 이지어스(Egeus)의 뜻을 거스르고 자신이 사랑하는 남자 라이샌더(Lysander)와 결혼한다.

아버지가 아테네의 군주인 테세우스(Theseus)에게 '제 딸 고집 좀 꺾어 주십시오' 하고 부탁해 테세우스가 '너, 아버지 말 안 들으면 평생 처녀로 혼자 살다 죽어야 한단다' 하고 겁을 줬는데도 말이다(사실 테세우스 본인이 아마존을 정복하고 그곳 여왕인 히폴리타(Hyppolyta)를 억지로 끌고 와 사랑도 없는 결혼을 눈앞에 두고 있는 처지라서 히폴리타의 눈치를 봐야 하기 때문에 허미아에게 뭘 강요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희극에서는 아버지의 힘이 약하다. 희극에서는 꼰대가 아니라 젊은이들이 승리한다.

이 소설도, 소설 끝마무리에서 작가가 하는 말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이외에도 또 생각해 볼 법한 이 소설의 포인트나, '아버지의 뜻이 이루어지는/좌절되는 비극/희극'의 예가 떠오르는 게 있으시면 댓글 달아 주시라.

같이 신 나게 한번 토론해 봅시다 *'ㅅ'* 제인 오스틴 사랑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