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를 보고 나서

[영화 감상/영화 추천] 미스터 스마일(The Old Man & The Gun, 2018) - 세상 '젠틀'한 꽃할배 강도의 마지막 한 방!

by Jaime Chung 2018. 11. 26.
반응형

[영화 감상/영화 추천] 미스터 스마일(The Old Man & The Gun, 2018) - 세상 '젠틀'한 꽃할배 강도의 마지막 한 방!

 

 

감독: 데이빗 로워리(David Lowery)

 

영화는 이렇게 시작한다. 말쑥한 파란색 양복을 잘 차려입은, 신사 같은 태도의 할아버지(로버트 레드포드 분)가 은행에서 젊은 여성 직원에게 가방을 받는다.

직원은 다소 긴장한 얼굴이다. 할아버지는 그녀에게 친절하게 미소를 건넨 후 은행에서 걸어나온다.

차를 타고 어디론가 가는 그. 그는 길을 가다가 차가 고장 나 곤란해하는, 비슷한 연배의 노년 여성(씨씨 스페이식 분)을 발견한다.

역시나 신사 같은 태도로 그녀에게 다가가 괜찮으냐고 묻는다. 그녀의 이야기인즉, 차가 고장 났는데 고칠 줄 모른다는 것이다.

그는 그녀에게 자신이 밥(Bob)이라는 이름의 세일즈맨이라고 소개하고, 그녀는 자신의 이름이 주얼(Jewel)이라 밝힌다.

그는 그녀의 차는 고치지 못하지만, 자신의 차에 태워 준다. 차 안에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며 서로에게 호감을 느낀 그들은 작은 다이너에서 커피를 한잔 하기로 한다.

이곳에서 그는 솔직히 자신이 세일즈맨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럼 진짜 직업이 뭐냐는 주얼.

그녀의 질문에 그는 "그걸 말하면 당신이 나를 두 번 다시는 만나고 싶어 하지 않을걸요." 하고 말한다. 그녀는 "내가 당신을 만나고 싶어 하지 않는다고 누가 그래요?"라고 살짝 밀당을 하며 다이너 영수증에 무언가를 끄적여 건넨다.

그걸 읽은 그는 거기에 무어라 적어서 건네고, 안경을 꺼내 이를 읽은 주얼은 도저히 믿지 못하겠다는 눈치다. "이게 정말이에요? 그렇다면 여기서 보여 줘 봐요."

그는 여기에서 보여 주기는 곤란하다고 말한다. 그럼 거짓말이겠다고 주얼이 말하니 그는 그게 아니라 이 다이너는 자기 스타일이 아니란다.

그녀가 그럼 뭐가 당신 스타일이냐고 하니까 은행에서 조용히 직원에게 차분한 태도로 다가가 총을 보여 주고 여기에 돈을 담으라고 말하는 것이라고 대답하는 그.

과연 그의 말은 사실일까? 이렇게나 신사 같고 점잖은 '꽃할배'가 정말 은행 강도일 수 있을까?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놀라운 이야기가 이어진다.

 

주얼(왼쪽)과 자신이 '밥'이라고 가명을 둘러댄 포레스트 터커(오른쪽)

 

주얼이 자신의 목장에서 한가한 시간을 보낼 때

 

포레스트 터커 역의 로버트 레드포드 옹

 

포레스트 터커와 그의 일당을 쫓는 형사 존 헌트

 

전설적인 배우, 로버트 레드포드(Robert Redford)이 은퇴 직전 마지막 작품으로 선택한 영화이다.

영화를 다 보고 나니 정말 잘 고른 작품이며, 그의 연기 생활을 끝맺는 데 아주 적절한 마무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은행을 털면서 내내 신사답고 친절하며 부드러운 태도를 유지하는 '할아버지 강도' 이야기는 놀랍게도 실화다.

(영화 시작할 때 "이 이야기는 대부분 실화다(This is mostly true.)"라는 자막이 나오는데, 이는 로버트 레드포드가 젊을 적 열연한 영화 <Butch Cassidy and the Sundance Kid(내일을 향해 쏴라, 1969)>에 나오는 "딱히 중요한 건 아니지만, 다음 이야기는 대부분 실화다(Not that it matters, but most of what follows is true)"라는 오프닝 자막을 단연코 의식한 것이다. 주연 배우의 은퇴작이니 그의 젊을 적 업적을 기리기 위함인 듯.)

영화가 진행되며 밝혀지지만 로버트 레드포드가 맡은 소위 '밥' 캐릭터의 본명은 포레스트 터커(Forrest Tucker)이다.

그는 (영화에서 각각 톰 웨이츠(Tom Waits)와 대니 글로버(Danny Glover)가 연기한)s 동년배 동료(=할아버지) 둘과 같이 은행을 털었다.

케이시 애플렉(Casey Affleck)이 이 '한물간 강도 무리(Over-the-hill Gang)'를 잡기 위해 애쓰는 형사 존 헌트(John Hunt) 역을 맡았다.

영화에는 헌트 형사가 왼손 검지손가락으로 자기 코를 쓱 쓰다듬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것 역시 로버트 레드포드를 기리기 위함이다.

이 행위가 로버트 레드포드와 폴 뉴먼(Paul Newman) 주연의 영화 <The Sting(스팅, 1973)>에 나오는, 이들끼리 서로에게 보내는 일종의 '싸인(sign)'이기 때문이다.

또 영화 중후반에는 로버트 레드포드의 젊을 적 영화 <The Chase(체이스, 1966)> 영화의 짧은 한 컷이 삽입되어 있는데, 나는 로버트 레드포드의 젊은 시절은 몰랐기에 그걸 보고 정말 이렇게 잘생겼던가 놀랐다.

그렇지만 그의 필모그라피에 익숙하신 분이라면 이 영화가 주연 배우의 젊을 적을 소소한 상징 등으로 기리는구나 하며 약간 감동받을 수도 있겠다.

 

그럼 본격적으로 영화의 기반이 된 실화와 그 주인공, 포레스트 터커에 대해 알아보자. 혹시나 하는 마음에 한마디를 덧붙이자면, 나는 실화에 기반한 영화는 대개 실화를 다룬 기사나 책 등을 바탕으로 해서 제작되므로 영화가 공개되기 전에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접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실화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실화와 영화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행위는 굳이 스포일러로 보지 않는다.

내게 스포일러라는 것은 전적으로 개인의 창작물, 허구에 바탕을 둔 영화의 진행을, 그것을 보지 않은 사람에게 미리 말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니 아래에서 이 영화가 다루는 실화의 주인공 이야기를 하더라도 스포일러 주의는 붙이지 않을 테니, 독자 여러분이 각자의 판단에 따라 아래 포스터 짤 이후부터 읽거나 실제 포레스트 터커의 사진이 나올 때까지 그냥 쭉 내리거나 하시면 된다.

 

1960년대 로버트 레드포드 주연 영화 느낌 나게 만든 포스터 ㅋㅋㅋㅋ (공식임)

 

포레스트 터커의 범죄 경력은 그가 십 대이던 시절에 시작되었다.그는 1935년에 자전거를 훔친 죄로 처음으로 체포되었는데, 1920년생이니 고작 그가 15살이었을 때였다.

이 영화의 배경은 1981년이고, 계산해 보자면 그가 대략 61살이던 시절이다. 참고로 로버트 레드포드는 이 영화를 촬영할 당시 이미 80살이었다.

어쨌거나 포레스트 터커는 영화에 묘사된 것처럼 탈출의 귀재였다. 그는 1950년대에 알카트라즈(Alcatraz) 연방 교도소에 수감되었는데, 믿기 어렵겠지만 그는 1956년 재판에 참여하기 위해 다른 교도소로 이동 수감되기 위해 기다리는 동안 이곳에서 교묘하게 빠져나갔다.

1979년에는 캘리포니아 주의 샌 쿠엔틴(San Quentin) 주립 교도소에 수감되었을 때는 (당시 이미 그는 59세였다) 두 수감자와 함께 나무와 플라스틱 시트, 덕트 테이프, 포마이카 등을 이용해 약 4m짜리(14피트) 카약을 만들어 타고 빠져나갔다.

 

포레스트 터커의 공범, 즉 영화에서 대니 글로버와 톰 웨이츠가 연기한 두 할아버지 역시 실제 인물을 바탕으로 한다.

톰 웨이츠가 맡은 '존 월러(John Waller)'는 1979년에 터커와 같이 샌 쿠엔틴 교도소를 탈출한 인물이다.

대니 글로버가 맡은 '테디(Teddy)'는 '시오도어 '테디' 그린(Theodore 'Teddy' Green)'이라는 인물을 바탕으로 하는데, 터커가 1950년대에 알카트라즈에서 처음 만난 동료 수감자였다. 실제로는 대니 글로버처럼 흑인은 아니고 그리스계 미국인이라고 한다.

이 셋으로 구성된 '한물간 강도 무리'는 1년에 60번이나 강도질을 저질렀다고.

 

이제 정말로 여러분이 제일 궁금해하실 부분이다. 정말로 강도 피해를 입은 은행 직원이 터커에 대해 '예의 바르고(polite)' '우호적(friendly)'이라는 표현을 썼을까?

그렇다. 이 영화에 영감을 준, 데이비드 그랜(David Gran)이 2003년에 <뉴요커(New Yorker)>에 실은 (영화 원제와 같은 제목의) 기사를 보면 진짜 포레스트 터커는 현금 뭉치를 들고 달아날 때 은행 직원들에게 "고마워요, 고마워요(Thank you, thank you.)"라고 말했단다.

이 기자의 기사는 나중에 <악마와 셜록 홈즈: 살인, 광기, 그리고 집착(The Devil and Sherlock Holmes: Tales of Murder, Madness, and Obsession)>이라는 책에도 실렸는데 안타깝게도 아직 국내 번역본은 없다.

플로리다(Florida) 주의 폼파노 비치(Pompano Beach)에서 결국 터커를 체포한 경찰서장 제임스 친(James Chin)조차도 일찍이 '그처럼 품위 있는 범죄자(such a gracious criminal)'는 만나 본 적이 없다고 말할 정도였다.

그가 유죄라고 판결한 배심원조차도 "인정할 건 인정해야죠. 이자에게는 스타일이 있어요(You got to hand it to the guy — he's got style.)"이라고 했다고.

강도질을 할 때 권총을 이용하기는 했는데, 그는 그걸 '은행 강도에 꼭 필요한 소품(prop)'이라고 묘사했다.

그는 자신이 온전히 자신의 개성의 힘만으로 대중의 관심을 사로잡는, 무대 위의 배우와 비슷하다고 했다.

그 총으로 결코 그 누구도 쏜 적은 없는 것으로 보고되며, 그저 은행 직원들이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권총을 살짝 보여 주었을 뿐이라고 말한다.

그의 말에 따르면, "폭력은 아마추어의 첫 번째 징후죠("To me violence is the first sign of an amateur.)"라나 뭐라나.

이러나저러나 포레스트 터커가 확실히 독특한 인물이라는 건 틀림없다.

 

진짜 포레스트 터커는 살면서 세 번 결혼했는데, 어쩐 일인지 그 세 명 모두 그와 결혼할 때조차 그가 범죄자라는 사실을 몰랐단다.

나중에 그가 체포되고 나서 경찰에게 이 진실을 듣고서야 알았다고(평소에 얼마나 멀쩡한 척하며 잘 속였으면!).

첫 번째 부인인 셜리 스톨즈(Shirley Storz)는 그와 1951년에 결혼했는데, 진실을 알게 된 이후 혼인을 무효화했다.

그녀는 자신이 리차드 벨로우(Richard Bellow)라는 이름의 부유한 송라이터와 결혼한 줄 알고 있었단다.

터커가 교도소에 가자 셜리는 5개월밖에 안 된 아들 릭(Rick)을 혼자 돌봐야 했다.

경찰은 훔친 돈으로 구입한 그녀의 물건들(비록 그녀는 그가 강도라는 것도 몰랐지만)을 모두 압수해 갔다.

그래서 그녀는 부모님과 같이 살며 아들을 부양하기 위해 공장에서 일해야 했다.

아들 릭의 말에 의하면 터커가 그녀의 세상을 무너뜨려 버린 셈이며, 그녀는 이후로 재혼도 안 했다고 한다.

아들이 임종을 지키는 중에 그녀는 암으로 사망했다ㅠㅠㅠㅠ

 

그렇다면 영화에서 씨씨 스페이식이 분한 캐릭터 '주얼'은 어떨까?

주얼은 터커의 세 번째 아내, 주얼 센터스(Jewell Centers, 참고로 스페이식이 연기하는 인물의 이름은 l이 하나뿐인 Jewel이다)라는 여인을 기반으로 한 캐릭터다.

실제로 그들은 1980년 초반에 플로리다 주의 포트 러더데일(Fort Lauderdale)의 사적인 클럽에서 만났다. 영화에서처럼 은행을 털고 도망가는 길에 만난 것이 아니라.

이 진짜 주얼은 대규모의 이삿짐센터 기업이었던 '애크미 이사 및 창고 서비스(Acme Moving and Storage)'의 상속녀였다.

반대로 극 중 주얼은 돈이 쪼달리는(그녀가 소유한 목장은 죽은 전남편에게 물려받은 것이다) 과부로 묘사되고, 이에 로버트 레드포드의 포레스트 터커는 자신의 (훔친) 돈으로 그녀의 모기지(mortgage) 대출금을 몰래 갚아 주고 싶어 은행에 가는 장면이 나온다.

실제 주얼이 젊었을 때는 얼마나 예뻤는지 마릴린 먼로를 좀 닮은 정도였다고 한다.

이 둘은 1982년에 결혼했다. 영화 속 주얼과 달리 진짜 주얼은 그들이 결혼하고 나서 그가 체포되어 경찰에게 진실을 듣기 전까지는 자기 남편이 범죄자라는 사실을 몰랐다.

그녀는 그가 밥 캘러핸(Bob Callahan)이라는 이름의 부유한 보안 브로커라고 철석같이 믿었다.

그가 범죄자라는 사실을 알게 되자, 그녀는 그를 떠나지 않고 그의 편에 남기를 선택했다.

그가 용서를 구하자, (그녀가 후에 회고한 바에 따르면) '그저 그를 안고 싶었을 뿐'이라고 한다.

터커는 새로운 사람으로 거듭나기로 맹세하고 샌 쿠엔틴 교도소로 이송되었다. 그녀는 그가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는 동안 그와 이혼하지 않고 정말 그의 부인 자리를 지켰다.

이걸 '진실된 사랑♥'이라고 해야 할지... 음...

 

텍사스(Texas) 주의 경찰인 존 헌트 역시 실제 인물이다. 당시 그는 40세였고, 텍사스 주의 오스틴에 있는 경찰서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현재 은퇴한 그는 '한물간 강도 무리'에 대해 "경찰 인생에서 내가 본 것 중 제일 프로페셔널하고 성공적인 강도들"이라 평했다.

심지어 "그들을 쫓는 우리(경찰)보다 그들이 더 경험이 많았다"고 말하기도 했다.

 

극 중 로버트 레드포드가 하고 나오는 '보청기'는 실제로 포레스트 터커의 트레이드마크였다.

겉보기에는 그냥 노인용 보청기로 보이지만, 사실은 경찰 무전기였다. 이걸 하고 있었기에 그는 항상 자신을 잡으려는 경찰보다 한발 앞설 수 있었다.

 

영화에는 터커가 체포된 후, 자신을 면회하러 온 주얼에게 그간의 탈출 기록을 적은 종이를 건네는 장면이 나온다.

16번의 탈출기를 영화는 간단하게 보여 주는데, 마지막 17번은 숫자만 쓰여 있고 내용이 없다.

왜냐고 주얼이 물으니 "최고는 마지막을 위해 남겨 두어야지" 같은 말을 운운하는데, 실제 터커는 총 18번 탈옥에 성공하고 12번은 실패했다고 회고한다.

첫 탈출은 1936년이었다. 마지막 체포 기록은 1999년에 78세였던 당시, 텍사스 주에서 미주리(Missouri) 주까지 은행을 소소하게 연달아 턴 후 잡힌 것이다.

 

1990년대에 포레스트 터커는 두 가지 버전의 자서전의 원고를 썼다. 첫 번째는 261쪽짜리 <알카트라즈: 그 진짜 이야기(Alcatraz: The True Story)>이고, 두 번째는 <캔 오프너(The Can Opener, '캔'에는 '깡통, 통조림 (캔)' 이외에 '감방'이라는 의미도 있다. 즉, 자서전 제목이 '깡통을 여는 도구'와 '감방을 탈출하는 사람'이라는 중의적 의미가 되도록 지은 것이다)>였다.

그는 자기 인생 이야기가 할리우드 영화로 재탄생되기를 바랐다. 자신이 마치 보니와 클라이드(Bonnie and Clyde) 같은 전설적인 존재가 될 수 있다고 믿은 그는 1999년에 다시 강도질을 시작했다.

결국 그는 체포되었고, 2004년 교도소에서 생을 마쳤다.

 

실제 포레스트 터커는 이렇게 생겼다고 한다.

 

이 외에도 포레스트 터커의 (본인은 있는지도 몰랐던) 자녀나 그의 탈출기의 자세한 이야기 등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기사들을 참고하시라.

https://www.google.com.au/amp/amp.timeinc.net/time/5407081/old-man-the-gun-true-story

http://time.com/5407081/old-man-the-gun-true-story/

나는 이 정도면 충분히 관객들이 궁금해할 만큼은 알려드린 거 같다. 이미 글이 길어지기도 했고.

그래서 간단히 총평을 내리자면, 로버트 레드포드라는 멋진 배우의 마지막으로 어울리는, 괜찮은 작품이라고 본다.

국내 개봉명을 왜 '미스터 스마일'이라고 했는지 알 것 같다. 극 중 포레스트 터커가 은행을 털면서 그렇게 점잖고 매너 좋게 미소를 지으니까.

씨씨 스페이식은 어쩜 그 나이에도 그렇게 소녀 같은 분위기를 풍기는지. 케이시 애플렉이 원래 이렇게 발음을 뭉개며 말했는지는 기억이 안 나지만 이 영화에서는 그 점 때문에 (개인적으로 혼자) 비호감... 사실 이거 말고도 정말 비호감이 될 만한 짓(ex. 성추행)을 하긴 했지.

어쨌거나 영화의 주연이 되는 실화 사건의 주인공이 무척 흥미로우므로, 영화도 자연히 흥미로울 수밖에 없다.

로버트 레드포드라는 배우의 연기가 그걸 더 극대화시켰고. 혹시나 부모님이 젊은 시절의 이 배우를 기억하신다면 모시고 같이 보러 가도 좋을 것 같다(괜히 분위기 어색해질 만한 야한 장면 같은 건 전혀 없으니 안심하시라).

이 포스트는 왠지 더글러스 애덤스(Douglas Adams)의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The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 시리즈 중 한 권 제목을 빌려 이렇게 끝맺어야 할 것 같다. "안녕, 영화는 고마웠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