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을 읽고 나서

[책 감상/책 추천] 이재진, <너에게 끌려다니지 않을 자유>

by Jaime Chung 2019. 5. 10.
반응형

[책 감상/책 추천] 이재진, <너에게 끌려다니지 않을 자유>

 

저자인 이재진은 심리 상담사이자 최면가이다. 이 책에서 그는 중독의 일종인 '관계 중독'의 모델을 제시한다.

알콜중독이 술 없이는 못 사는 중독이듯, 관계 중독은 특히 타인 중심적인 인간관계에 휘둘리는 중독을 말한다.

 

저자는 "마음을 치유하려, 관계 속에서 사랑받으려, 인정받으려, 관심받으려, 기술을 익히려 애쓸 필요 없다"고 말한다.

내가 관계 중독자임을 인정하라. 관계 중독에 무력함을 인정한다면 방향이 결정된다. 그 행동들을 끊어내면 된다. 끊는다면 타인에게 끌려다니지 않고, 상처받지 않으며, 인정받지 않을 수 있고, 관심받을 수 있고, 사랑받을 수 있다. 끌려다닐 것인가, 끊을 것인가? 선택은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의 몫이다.

 

내가 공감한 관계 중독자의 증상은 이거다.

관계 중독자는 타인과 함꼐 있는 시간보다 혼자 있는 시간을 견디지 못한다. 이들은 혼자 있는 시간과 장소에 대한 공포증이 있다. 혼자 있는 시간은 공포의 시간으로 여겨진다. 혼자 남아 있게 되면 그들은 불안감, 외로움, 자괴감, 소외감 등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그들은 혼자 있는 시간에 누군가를 찾거나, 매달리거나, 끊임없이 연락하거나, 손톱을 물어뜯으며 누군가가 찾아오길 기다리고 있어야 할지도 모른다. '날 외롭게 혼자 두지 마세요.'라면서 말이다.

 

늘 생각하는 거지만, 정말 우리 머릿속 프로그램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아무리 따져봐도 지나치지 않다.

왜냐하면 우리는 프로그램된 대로 세상을 보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놀림받은 사람'은 부정적인 자아상이다. 그리고 부정적인 자아상은 타인을 바라보는 색안경으로 작동한다. 자신을 '사랑받는 사람'이라고 여기는 사람은 어디서든 사랑받는 증거를 확인한다. 하지만 자신을 놀림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여기는 사람은 어디서든 자신을 비난하는 증거를 확인한다. 의식적으로 사랑과 비난의 증거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다. 나도 모르게 자동적으로, 무의식적으로 그렇게 받아들여진다. 자아상이란 색안경은 우리 뇌 속에 설치된 바이러스 퇴치 프로그램과 같다. 타인의 행동을 바이러스로 의식하고 회핗,게 만들거나, 퇴치하게 만든다.

 

내가 이 책에서 제일 인상 깊게 읽은 말 중 하나는 다음 문단이다.

우리는 다양한 계층과 다양한 성격을 지닌 사람들 속에서 살아간다. 세상은 뷔페 식당과 같다. 다양한 계층과 다양한 사람들이 존재한다. 이 세상에 태어난 순간, 뷔페에 들어온 것이다. 따라서 싫어하는 상황, 싫어하는 사람, 싫어하는 태도, 싫어하는 모습이 많으면 많을수록, 우리의 삶은 협소하게 된다. 나중엔 만날 사람이 없어진다.

싫어한다는 것은 배제한다는 뜻이다. 이 넓고 다양한 사람/사물이 많은 세상에서 싫어하는 게 많아지면 그만큼 우리의 세상도 좁아질 수밖에 없다. 

삶이라는 축복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마음의 '알레르기'를 하나씩 벗어 던져야 한다. 

 

그리고 또 너무 좋아서 눈물이 났던 말.

사랑은 애써서 받는 것이 아니다. 원래 사랑받는 사람이라고 여기는 사람은 사랑받는다. 자신을 원래 사랑받은 사람으로 대하라. 그리고 사랑받은 증거를 확인하라. 당신은 분명히 사랑받았다. 그리고 받은 사랑에 감사하라. 그럼 사랑은 자연스럽게 찾아온다.

 

저자는 유아기적 사랑과 성인의 사랑을 이렇게 비교한다.

사랑은 삶의 목적이 될 수 없다. '사랑받는다'는 의미는 심리학적으론 '안전 기지로부터 보호받다.'란 뜻과 같다. 마치 아이가 엄마의 곁에서 체온과 시선을 느끼며 애착을 느끼듯, 성인의 사랑도 애착 대상에게 체온과 시선을 느끼는 것은 같다. 하지만 성인의 사랑은 유아적 사랑과 다르다. 유아기적 사랑이 안전 기지로부터의 일방적 사랑이라면, 성인의 사랑은 서로 안전 기지가 되어 주는 사랑이다. 누군가에게 관심을 줄 수 있는 여유, 안전 기지가 되어 줄 수 있는 충분한 에너지, 타인의 삶을 지지하는 신뢰가 있어야만 성인의 사랑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사랑이란 성인과 성인이 온전한 개인으로 만나 서로를 믿고 같이 살아가는 것이지, 어느 한쪽이 다른 한쪽에게 일방적으로 기대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이 얼마나 아름다운 일인가. 동등하게 강한 두 사람이 서로를 지지하고 서로에게 힘이 되어 준다는 것은.

 

저자가 제시하는 4가지 성장 계단 중 첫 번째는 '내 안의 중독을 찾고, 증상에게 감사하라'는 것이다.

증상에게 감사하라니, 이상하게 들리지만 거기에는 다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다.

우리가 소위 '증상'이라고 부르는 것은 우리를 보호하기 위한 무의식의 산물이다.

비이성적이거나 비합리적으로 보일지라도, 그런 '증상'을 보이면 우리에게 이득이 되는 게 있기 때문에 우리는 그런 행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아팠을 때 부모님의 관심과 사랑을 받은 아이가 그 애정을 받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아프게 하는 것처럼.

강박장애를 가진 한 내담자와의 대화를 보자(상담자와 내담자 구분은 내가 옮기면서 편히 볼 수 있도록 추가했다).

상담자: "우리의 무의식은 늘 우리에게 선의적입니다. 당신이 설명하는 '강박장애' 또한 당신에게 선의적입니다. 분명히 어떤 이득이 있을 겁니다. 그런데 언제부터 그런 증상이 있었나요?"
내담자: "고등학교 때였습니다. 대입을 준비할 때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대학에 떨어지면 죽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고 공부를 했습니다. 그런데 모의고사 성적이 크게 올랐고, 대학도 생각했던 것보다 더 좋은 곳으로 진학했습니다. 그때부터였던 것 같습니다."
상담자: "죽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니 결과가 좋았군요? 당신의 좋은 결과를 바랄 땐 어떤 생각이 들지요?"
내담자: "아…그러고 보니 제가 좋은 결과를 바랄 때마다 안 좋은 생각이 들었어요."
상담자: "당신의 강박에게 감사하지요?"
내담자: "예, 그렇군요. 제 강박장애에 그런 의도가 있는지 이제야 알았습니다."

그의 무의식엔 '죽을 것 같아 = 좋은 결과'란 프로그램이 있었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좋은 결과를 바랄 때마다 '죽을 것 같다'라는 생각을 꺼내들었던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의 증상을 면밀히 따져보아야 한다.

증상에게 물어보라. '너는 무엇 때문에 나에게 찾아왔니?'라고 묻는 것이다. 걷고 있는 나는 증상이 되어, 나에게 대답하라. '너의 ○○을 도와주기 위해 왔어.' 또는 떠오르는 대로 대답하라. 대답을 들었다면 증상에게 다시 물어보라.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란 의문 단어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물어보라. '왜?'란 단어보단, '무엇을, 어떻게'라고 구체적으로 물어보라. '언제, 어디서'란 단어를 사용하여, 발생한 시점과 장소도 구체적으로 물어보라. 계속 묻고 답하는 과정 속에서 '증상이 된 나'는 분명한 이득을 주었음을 을게 될 것이다. 그리고 증상에게 물어보고 있는 '나'는 증상으로부터 분명한 이득을 얻고 있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이득의 통찰을 얻었다면, 증상에게 감사하다고 말하라. 내가 증상에게 진심으로 감사할 때, 증상은 사라진다.

 

참고로 저자가 제시하는 '관계 중독'이라는 모델은 저자 소개에도 써 있듯이 미국 중독 전문가들의 이론을 받아들여 연구한 것인데, 같은 주제를 다룬 책, 로빈 노우드의 <너무 사랑하는 여자들>에 대해서도 리뷰를 쓴 적 있으니 같이 읽으면 좋을 듯하다.

2019/04/03 - [책을 읽고 나서] - 로빈 노우드, <너무 사랑하는 여자들>

 

로빈 노우드, <너무 사랑하는 여자들>

로빈 노우드, <너무 사랑하는 여자들> 퀸(Queen)의 명곡 중에 "Too Much Love Will Kill You(너무 많은 사랑은 당신을 죽일 거예요)"라는 곡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고(古) 김광석이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eatsleepandread.xyz

이 둘과 비슷한 책을 더 읽고 싶으시다면 '관계 중독' 또는 '사랑 중독' 정도의 키워드로 검색하시기를 추천한다.

책을 읽는다고 바로 관계 중독에서 벗어날 수는 없겠지만, 자신이 관계 중독임을 깨닫고 거기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을 꾸준히 한다면 다른 중독과 마찬가지로 관계 중독도 충분히 치유 가능하다.

그러니 치유를 위한 첫 발자국을 내딘다는 마음으로 한번 읽어 보자.

분명히 자신의 상태를 확실히 인지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치유는 거기서부터 시작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