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2581

[영어 공부] pit one's wits against sb(~와 지식을 겨루다, 두뇌 대결을 하다 [영어 공부] pit one's wits against sb(~와 지식을 겨루다, 두뇌 대결을 하다 나는 세상에 나보다 똑똑한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섣불리 지식 자랑을 하지 않지만, 가끔 누가누가 더 잘났는지, 누가누가 더 똑똑한지 배틀을 떠서라도 알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렇게 누가 더 똑똑한지, 지식 또는 두뇌 대결을 하는 것을 'pit one's wit against sb'라고 한다. 케임브릿지 사전은 'pit your wits against sb/sth'을 "to see if you can be cleverer than someone or something(당신이 누군가 또는 어떤 것보다 더 똑똑한지 보다)"이라고 정의했다. "Would you like to pit your w.. 2019. 6. 27.
[영어 공부] come to a head/bring sth to a head(곪아서 터질 듯하다, (문제 등이) 정점[위기]에 이르다) [영어 공부] come to a head/bring sth to a head(곪아서 터질 듯하다, (문제 등이) 정점[위기]에 이르다) 평생 참으며 살 수는 없다. 뭐든 참다 참다가 더 이상은 못 참겠을 때, 뭔가 속상하거나 답답한 게 곪아서 터질 듯한 것 같은 때가 오게 마련이다. 그런 위기의 순간을 'come to a head' 또는 '(someone) bring sth to a head'라는 표현으로 묘사할 수 있다. 케임브릿지 사전은 'come to a head'를 이렇게 정의했다. "If something comes to a head or someone brings something to a head, a situation reaches a point where something must be .. 2019. 6. 26.
[영어 공부] force someone's hand(어쩔 수 없이 ~하게 하다) [영어 공부] force someone's hand(어쩔 수 없이 ~하게 하다) 하기 싫은 일을 억지로, 또는 어떤 사정에 떠밀려서 하게 되는 경우가 살다 보면 종종 있다. 그렇게 외부 상황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생각이나 의도와는 다르게 어떤 일을 하게 되는 것을 'force someone's hand'라고 한다. 예컨대 원래 집에서 쉬고 싶었는데 날이 좋아서 배우자의 등쌀에 밀려 애를 데리고 나들이를 나가야 했다든가, 뭐 그런 것 말이다. 케임브릿지 사전은 'force sb's hand"를 "to make someone do something they do not want to do, or act sooner than they had intended(누군가 원하지 않은 일을 하게, 또는 그들이 계획한 .. 2019. 6. 25.
[영어 공부] (All) In good time(머지 않아, 곧, 때가 되면) [영어 공부] (All) In good time(머지 않아, 곧, 때가 되면) 사실 나도 성격이 급한 편이다. 그래서 기다리는 걸 잘 못한다. 그래도 요즘엔 너무 성마르게 무엇을 판단하거나 짜증 내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때가 되면 음식이 알아서 나오겠지" 같은 말로 스스로를 달래며. '때가 되면, 곧, 머지 않아'는 영어로 '(all) in good time'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케임브릿지 사전은 'all in good time'을 "used to tell someone to be patient because the thing they are eager for will happen when the time is right(어떤 사람이 열렬히 기다리는 것이 적당한 때에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에 참.. 2019. 6. 24.
[영어 공부] read into sth(~에 (과하게) 의미를 부여하다) [영어 공부] read into sth(~에 (과하게) 의미를 부여하다) 소심한 사람들은 상대가 별 생각 없이 한 말 한마디에도 큰 의미를 부여해 혼자 속앓이를 한다. 그냥 지나치는 말로 가볍게 한 말, 별 의미 없는 말에 꽂혀서 '이런 의미일 거야', '사실은 저렇게 생각하고 있는 게 틀림없어' 같은 생각을 하는 것이다. 그럴 때 이렇게 말해 주고 싶다. "You're reading into this!(네가 여기에 너무 의미를 부여하는 거야!) 'read into sth'은 어떤 것에 필요 이상으로 의미를 부여하거나 그 안에 숨겨진 어떤 의미를 찾으려고 애쓰는 걸 말한다. 케임브릿지 사전은 'read into sth'을 "to believe that an action, remark, or situati.. 2019. 6. 23.
[영어 공부] miffed(약간 화[짜증]가 난) [영어 공부] miffed(약간 화[짜증]가 난) 지하철역에 갔는데 사람들이 올라오길래 부랴부랴 플랫폼을 내려가니 정말 몇 초 차이로 지하철 문이 닫히면 짜증이 난다. 대단한 건 아니지만 정말 그 몇 초 차이로 5, 6분을 기다리며 낭비해야 할 생각에 화가 난다고 할까. 크게 기분이 상하는 건 아니지만 약간 짜증이 나는 걸 'miffed'라고 한다. 케임브릿지 사전은 'miffed'를 "annoyed at someone's behaviour towards you(당신을 향한 다른 이의 행동에 짜증이 난)"라고 정의했다. "She hadn't called for a week and I was getting miffed(그녀는 일주일 동안 전화를 하지 않았고 나는 슬슬 짜증이 났다)." 콜린스 사전은 'mi.. 2019.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