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공부2479 [영어 공부] bust a gut(무척 애를 쓰다) [영어 공부] bust a gut(무척 애를 쓰다) 나는 솔직히 노력하는 일을 안 좋아한다. 내가 좋아하는 일이라면 굳이 내가 애쓰지 않아도 그냥 하고 싶어서 자연스럽게 많이, 잘하게 될 거고, 내가 싫어하는 일이라면 당연히 노력하고 싶지 않다. 어떤 것을 (성취)하려고 무진 애를 쓴다는 말은 영어로 'bust a gut'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케임브릿지 사전은 'bust a gut'을 "to work very hard or make a big effort to achieve something(무엇을 성취하려고 열심히 일하거나 무척 노력하다)"이라고 정의했다. 딱 보면 느낌이 오겠지만 인포멀(informal)한 표현이다. "I really busted a gut to get that report fin.. 2019. 5. 10. [영어 공부] off the hook(수화기를 제대로 내려놓지 않은 / 곤경[처벌]을 면하다) [영어 공부] off the hook(수화기를 제대로 내려놓지 않은 / 곤경[처벌]을 면하다) 요즘 아이들은 어릴 적부터 집 전화기, 수화기가 있는 일반 전화기를 잘 안 써서 '전화를 받는 제스처'를 해 보라고 하면 핸드폰을 귓가에 갖다 댄 손 모양을 한다고 한다. 나는 그런 일반 전화기를 쓰고 자란 사람이라 '전화 받는 시늉' 하면 엄지와 약지만 펴고 나머지 손가락을 접어서 엄지가 귓가에, 약지는 입가에 가까이 대는데... 그런 문화 차이가 너무나 충격이었다. 오늘 배울 표현인 'off the hook'도 요즘 아이들은 잘 모르지 않을까 싶다. 두 가지 뜻이 있는데, 첫 번째는 수화기를 제대로 내려놓지 않아서 전화가 울리지 않는 상태, 두 번째는 곤경이나 처벌 등 곤란한 상황을 피한다는 의미이다. 케임.. 2019. 5. 9. [영어 공부] come to blows(싸우기 시작하다, 난투극이 되다) [영어 공부] come to blows(싸우기 시작하다, 난투극이 되다) 내 변호사 친구는 가끔 이런 농담을 한다. "왜 가까운 주먹 두고 먼 법을 찾지?" ㅋㅋㅋㅋㅋㅋㅋㅋ 그렇지만 모든 사람들이 문제 해결을 위해 가까운 주먹에 의지한다면 이 세상은 난투극이 끊임없이 열리는 극장이 될 게 뻔하다. 'come to blows'는 '싸우기 시작하다, 난투극이 벌어지다'라는 영어 표현이다. 케임브릿지 사전은 'come to blows'를 "to have a physical fight or a serious argument with someone(누군가 신체적인 싸움을 하거나 심각한 말다툼을 벌이다)"이라고 정의했다. "Demonstrators nearly came to blows with the police .. 2019. 5. 8. [영어 공부] pin sth on sb(~에게 비난[책임]을 씌우다, ~에게 희망 등을 걸다) [영어 공부] pin sth on sb(~에게 비난[책임]을 씌우다, ~에게 희망 등을 걸다) 농담인지 진짜인지는 모르겠지만 '인간을 닮은 컴퓨터'는 실수를 했을 때 그걸 다른 컴퓨터에게 뒤짚어씌운다고 한다. 어떤 일에 대한 책임이나 비난을 누군가에게 돌리는 것을 영어로는 'pin sth on sb'이라는 숙어로 표현할 수 있다. 케임브릿지 사전은 'pin sth on sb/sth'를 "to blame someone for something(어떤 것에 대해 누군가를 비난하다)"라고 정의했다. "He tried to pin the mess on his brother, but it didn’t work(그는 그 난장판을 그의 동생 탓으로 돌리려 했지만, 그 계획은 실패했다)." 그런데 이 sth에 비난이나 .. 2019. 5. 7. [영어 공부] get/have sth under your belt(지식 따위를 잘 배우다[흡수하다], 경험 따위를 이미 겪다) [영어 공부] get/have sth under your belt(지식 따위를 잘 배우다[흡수하다], 경험 따위를 이미 겪다) 내가 좋아하는, 다이어트에 관한 명언 중 하나는 이거다. "살이 쪘으면 더 큰 바지를 사 입어라. 어차피 겨울에는 아무도 모른다." 내가 벨트 구멍을 여기에 차던 걸 이제는 저쪽에 차게 됐다고 해도 남들이 알 게 뭔가. 'get/have sth under your belt'는 먹은 것이나 경험한 것, 지식 따위가 벨트 아래에 있다, 그러니까 이미 흡수되어 내 (배) 안에 있다는 의미로, 진짜 글자 그대로 뭘 먹었다는 뜻으로도 쓰이고 아니면 경험이나 지식을 잘 습득했다는 의미로도 쓰인다. 케임브릿지 사전은 'have sth under your belt'를 "to have learn.. 2019. 5. 6. [영어 공부] moon over(~ 생각에 넋을 잃[고 바라보]다) [영어 공부] moon over(~ 생각에 넋을 잃[고 바라보]다) 짝사랑에 빠지면 그냥 그 사람 생각을 하거나 그 사람을 바라보기만 하면서도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딱히 뭐 엄청 생산적인 일을 하는 건 아니지만, 그냥 그렇게만 해도 기분이 좋고 또 시간이 잘 가니까. 이런 걸 영어로 'moon over'라고 할 수 있다. 케임브릿지 사전은 'moon over sb/sth'을 "to spend time thinking about someone or something that you love, in a silly way that does not achieve anything(어떤 것도 성취하지 않는, 바보 같은 방식으로 당신이 사랑하는 누군가 또는 무엇을 생각하며 시간을 보내다)"이라고 정의했다. "He .. 2019. 5. 5. 이전 1 ··· 356 357 358 359 360 361 362 ··· 414 다음